4 근로자의 개념과 판단기준 | 로톡

로그인/가입

첫 상담 100% 지원!

[ 법률 가이드 ]

4 근로자의 개념과 판단기준

4달 전 작성됨
·
조회수 12
유용해요 0
4 근로자의 개념과 판단 기준: 노동법 적용 대상의 핵심 ​ 노동법의 적용 대상을 결정하고 노동 사건의 본질적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쟁점 중 하나는 "근로자"의 개념입니다. 노동법의 본질이 종속노동관계에 있다고 볼 때, 근로자의 개념과 해당성 판단은 노동법 적용 대상을 확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근로자 해당성 판단이 중요한 이유 ​근로자 해당성만을 다루는 사건으로는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이 있지만, 더 흔한 사례로는 근로자로서의 지위를 주장하는 퇴직금 청구 소송, 해고 무효 확인 소송, 그리고 산업재해보상보험급여 청구 행정소송 등이 있습니다. 판례에 따른 근로자 해당성 판단 기준 ​대법원은 1994년 12월 9일 선고된 94다22859 판결에서 근로자 해당성 판단 시 실질을 보아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판결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용자가 업무 내용을 정하는지 여부 취업규칙 및 복무규정을 적용받는지 여부 업무 수행 과정에서 사용자가 지휘·감독하는지 여부 근무 시간·장소를 사용자가 지정하고 근로자가 이에 구속받는지 여부 근로자가 제3자를 고용하여 업무를 대행할 수 있는지 여부 비품, 원자재, 작업도구 등의 소유 관계 보수의 성격 및 근로소득세 원천징수 여부 근로 제공 관계의 계속성과 사용자에 대한 전속성의 유무 사회보장제도에서 근로자로서 인정받는지 여부 양 당사자의 경제적·사회적 조건 ​ 이후, 대법원은 2006년 12월 7일 선고된 2004다29736 판결에서 위 기준을 일부 수정하고 추가 요소를 반영했습니다. 특히, 노무 제공자가 독립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지, 이윤 창출과 손실 위험을 스스로 감수하는지 등이 추가되었습니다. 근로자 해당성 판단의 실무적 접근 ​근로자 해당성을 판단할 때, 계약서와 같은 증거에 절대적으로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기업 측에서 일방적으로 제출하는 취업규칙, 사업자등록증, 근로소득세 원천징수 영수증, 4대 보험 미가입 증거 등은 참고 자료일 뿐입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근로 실상에 대한 종합적 검토입니다. 출퇴근 시간, 업무 수행 방식, 사용자의 지휘·감독 여부, 부업 병행 가능성, 업무 대체 가능성, 작업 도구 소유 및 보수 지급 형태 등을 면밀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동종 사건의 선례 고려 ​유사한 노무 제공 형태에 대한 선례를 참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만, 선례는 참고 자료일 뿐, 각 사건의 실질은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같은 직종이라도 사업장마다 실질이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근로자 해당성 판단은 노동법 적용의 핵심이므로, 이와 관련된 판결은 다른 사건에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객관성과 신중함을 가지고 판결문을 작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더보기
동영상이 도움이 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