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재산가액청구권 제척기간 위헌 | 로톡

로그인/가입

첫 상담 100% 지원!

[ 법률 가이드 ]

상속재산가액청구권 제척기간 위헌

일 년 전 작성됨
·
조회수 32
유용해요 0
안녕하세요, 오늘은 헌법재판소의 중요한 결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상속과 관련된 법률 이슈를 다룬 이번 판결은 상속분가액지급청구권에 관한 것입니다. 사건 개요 갑이라는 인물이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친부모인 을과 병의 상속인이라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사실을 알기 전에 다른 공동상속인들이 상속재산을 이미 분할하거나 처분한 상황이었죠. 갑은 자신의 상속분에 해당하는 가액을 청구하려 했지만, 민법 제999조 제2항에 따르면 상속권 침해 행위가 있은 날부터 10년이 경과한 경우에는 청구할 수 없다고 되어 있어 문제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갑은 이 조항이 자신의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며 헌법소원을 청구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판단 헌법재판소는 갑의 재산권과 재판청구권이 제한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재산권 및 재판청구권 보장: 헌법이 재산권과 재판청구권을 보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실질적으로 보호할 필요가 있습니다. 입법 형성의 한계: 민법 제999조 제2항은 제3자의 거래 안전과는 무관하게 기존 공동상속인과 추가된 공동상속인 사이의 권리관계를 조속히 안정시키기 위한 조항입니다. 그러나 이 조항이 인지나 재판 확정 후에도 10년이 경과한 경우 권리를 행사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 입법취지에 반합니다. 공동상속인의 권리구제 실효성: 인지나 재판 확정 후 3년의 제척기간은 공동상속인의 권리구제를 실효성 있게 보장합니다. 하지만 상속재산의 분할 또는 처분일로부터 10년이 경과한 경우에는 권리구제의 실효성을 완전히 박탈합니다. 헌법재판소는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민법 제999조 제2항의 '상속권의 침해행위가 있은 날부터 10년' 부분이 헌법에 위반된다고 결정했습니다. 반대 의견 일부 재판관은 심판대상조항이 입법형성의 자유에 속하며, 상속관계를 조기에 확정하지 않으면 법률관계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다수 의견은 권리구제 실효성을 더 중시했습니다. 결정의 의의 이번 결정은 상속개시 후 공동상속인이 된 사람에게 상속권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지 않은 심판대상조항이 재산권과 재판청구권을 침해한다고 선언한 최초의 결정입니다. 상속분가액지급청구권의 실효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결론 이번 헌법재판소 결정은 상속권 회복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을 제공합니다. 상속개시 후 인지나 재판확정으로 공동상속인이 된 사람도 상속분에 해당하는 가액을 청구할 수 있도록 권리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이러한 판결은 상속관계에서 권리구제의 실효성을 높이고, 공동상속인 간의 이해관계를 더욱 공정하게 조정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헌법재판소 #상속분가액지급청구권 #상속회복청구권 #제척기간 #재산권 #재판청구권 #민법 #헌법소원 #공동상속인 #법률분쟁
더보기
동영상이 도움이 되셨나요?